2022나2000539 해고무효확인[제38-1 민사부 2022. 11. 11. 선고] <노동>□ 사안 개요- 공기업인 피고의 자회사는 세무회계 사무소(‘A사무소’)와 6개월간의 세무대리 위임계약을 체결하고 A사무소 소속 세무사인 원고를 자회사에 근무하도록 하였음(‘이 사건 쟁점기간’).- 자회사는 위임계약을 갱신하지 않고, 공개채용 절차에 따라 원고와 1년의 기간제 근로계약을 체결함(‘제1 근로계약’). 피고는 자회사의 근로관계를 승계하고 원고와의 계약기간을 1년 연장함(‘제2 근로계약’),- 피고는 1년 뒤 근로계약의 종료를 통지함(‘이 사건 종료통지’).□ 쟁점 및 판단- 이 사건 쟁점기간 동안 묵시적 근로관계 성립 여부(적극)① 자회사가 원고를 지휘·감독하였고, 위임계약상의 위임업무를 벗어나 자회사 사업에 실질적으로 편입되어 직책을 가지고 직접 근로를 제공한 점, ② A사무소가 위임계약의 수급인으로서 독자적인 업무를 수행한 바 없고, 원고에 대한 근로계약서, 4대보험 가입 등도 이루어지지 않는 등 형식적·명목적인 지위에 불과한 점, ③ 자회사의 원고에 대한 임금이 위임보수 명목으로 A사무소에 지급되었다가 일정액을 제외하고 원고에게 그대로 지급된 점 등을 근거로 묵시적 근로관계 인정함-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계약 관계가 성립되었는지 여부(적극)① 이 사건 쟁점기간과 제1, 제2 근로계약 기간을 통산하면 2년을 초과하여 기간제 근로자를 사용하였으므로 기간제법 제4조 제1, 2항에 따라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계약관계가 성립하였음. ② 설령 묵시적 근로관계가 부정될 경우더라도 피고는 파견법의 법리에 따라 직접고용의무를 부담함. 이 경우 원칙적으로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체결하여야 하므로, 제1, 2 근로계약 중 기간을 정한 부분은 효력이 없는바(대법원 2018다207847 판결), 마찬가지로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계약관계가 성립되었음- 이 사건 종료통지의 효력(부당해고로 무효)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계약관계가 성립되었고, 해고의 정당한 사유가 있다고 볼 근거 없음]- 해고무효확인 및 복직시까지의 임금 청구 부분 인용 (원고일부승)
카테고리 인기기사 1집행에 관한 이의 2서울고등법원 2022노408 아동·청소년의성보호에관한법률위반(상습성착취물제작·배포등) 등 3서울고등법원 2022누49221 양도소득세부과처분취소 4서울고등법원 2022노817 성폭력범죄의처벌등에관한특례법위반(주거침입강제추행) 5서울고등법원 2022르22029 , 2022르22036(병합) 이혼 등, 손해배상(기)
기자가 쓴 다른기사 【오늘의 법조】 2023년 3월 28일 공정위 조사·심의 절차 개선 AI 규제 동향 부동산투자회사(REITs) 관련 제도 주요 개정 및 예정 사항 소개 [김유나의 자문하는 시간] 기영이의 수갑
한 주간 인기기사 1사형 집행 30년 시효 임박 두고 논란 2[판결] "자녀 전부가 상속포기하면 배우자만 단독 상속" 32022년 그룹 총수 연봉 … ESG 적정성 논란 4헌재 "검수완박 입법 무효로 보기 어렵다" 5[기억과 추모] 백형구 전 한국형사법학회장 별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