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FC 사건 관련 수사는 이제 시작이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연루된 성남FC 후원금 의혹 사건을 수사 중인 검찰 안팎에서는 이 같은 관측이 나온다. 특히 성남지청이 해당 수사인력을 50% 가까이 늘린 배경을 두고 6개 기업 고위층을 대상으로 한 수사는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성남지청이 최근 이 사건에 연루된 두산건설 전 대표와 성남시청 관계자를 불구속 기소한 데 이어, 네이버 등 다른 기업에도 강도 높은 강제수사를 진행 중이다. 검사들이 6개 연루 기업을 각자 전담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편법 뇌물 공여 혐의를 집중적으로 파헤치고 있어, 검찰 안팎에서는 기업 윗선 뿐만 아니라 특혜제공 의혹을 받는 이 대표에게까지 수사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4일 법률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수원지검 성남지청 형사3부(부장검사 유민종)는 최근 연루 기업 6곳에 각 검사 1명씩을 투입했다. 기존에는 이 사건 수사팀 인력이 지휘라인인 차장·부장검사를 포함해 검사 6명이었다. 하지만 내부 사무분담을 통해 검사 2~3명이 추가투입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수사에 참여하는 검사 수가 최대 9~10명으로 늘어난 것이다.
두산건설 前대표 등
불구속 기소 이어 네이버 등 고강도 수사
검찰은 이 대표가 2014~2016년 성남시장 재직 시절 관내 기업 6곳으로부터 성남FC 후원금 명목으로 160억 원을 유치하면서 특혜를 제공했다고 보고 있다.
두산건설은 50억 원 가량의 후원금을 내고, 두산그룹이 소유 중인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 병원부지에 대한 용도변경 등 편의를 제공받았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검찰은 지난달 16일 정진상 민주당 대표 정무조정실장 자택·두산건설·성남지청 등 20여곳을 압수수색했다. 이를 바탕으로 2주 뒤인 지난달 30일 두산건설 전 대표 A 씨를 뇌물공여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다. 성남시 전 전략추진팀장 B 씨는 제3자뇌물수수혐의로 함께 기소했는데, 두 사람의 공소장에는 이재명 당시 성남시장과 정진상 정책실장이 공모했다는 내용도 담겼다.
검찰 안팎, 특혜의혹 받는 이재명 대표까지
수사 확대 전망도
성남시와 관내 기업 간 고리를 규명하기 위한 수사의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전현직 기업인과 이 대표에 대한 추가 기소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네이버는 성남FC에 직접 후원을 하지 않고 공익재단을 통해 우회 지원했다는 의혹을 받는데, 검찰은 지난달 26일 네이버·분당차병원 등 10여곳을 압수수색했다. 4일에는 농협 성남시지부·현대백화점·알파돔시티 사무실 등 7곳을 압수수색했다.
앞서 2018년 제3자 뇌물죄 혐의 등 고발장을 접수한 검찰은 지난해 9월 증거불충분을 이유로 이 대표 등을 무혐의 처리했다. 하지만 고발인의 이의제기로 성남지청에 송치됐고, 사건을 넘겨 받은 당시 박은정 성남지청장이 수사를 무마하려 했다는 의혹이 불거지기도 했다. 사건을 다시 넘겨 받은 수원지검의 지휘에 따라 성남지청은 올해 2월 경찰에 이 사건 보완수사를 요구했다. 경찰은 성남시청을 압수수색 하는 등 사건관계인들을 조사한 뒤, A 씨 등에 대해서는 기소의견을 냈다. 하지만 네이버 등 다른 5개사에 대해서는 혐의점이 없다고 판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