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용협동조합의 기존 인사규정이 ‘① 직원의 정년은 58세로 하고, ② 직원의 정년해직 기준일은 정년에 도달하는 날이 1월에서 6월 사이에 있는 경우에는 6월 30일로, 7월에서 12월 사이에 있는 경우에는 12월 31일로 한다’는 내용을 규정하고 있었는데, 개정 후 ‘① 직원의 정년은 60세로 하고, ② 직원의 정년해직 기준일은 정년에 도달한 날로 한다’는 내용으로 변경된 것이 취업규칙의 불이익한 변경인지 여부(소극) ◇ '고용상 연령차별금지 및 고령자고용촉진에 관한 법률' 제19조에 따라 근로자의 정년을 60세 미만이 되도록 정한 근로계약이나 취업규칙, 단체협약의 정년 관련 규정은 이에 위반되는 범위 내에서 모두 무효이므로(대법원 2017. 3. 9. 선고 2016다249236 판결 등 참조), 정년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는 개정 전후의 인사규정 전체를 보고 판단하여야 할 것이지 개별 조항의 효력을 하나씩 따로 비교하여 판단할 것은 아니다. ☞ 원심은 ‘사업주는 근로자의 정년을 60세 이상으로 정하여야 한다’는'고용상 연령차별금지 및 고령자고용촉진에 관한 법률' 제19조가 시행되었다는 점을 들어 ① 정년을 58세로 정한 개정 전 인사규정의 효력은 없어졌지만 ② 정년해직 기준일을 정한 부분이 여전히 유효하다고 보아 정년해직 기준일을 정한 조항만을 비교하여 취업규칙이 불이익하게 변경되었다고 판단함. ☞ 대법원은 취업규칙의 불이익 변경 여부는 정년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는 개정 전후의 인사규정 전체를 보고 판단하여야 할 것이지 개별 조항의 효력을 하나씩 따로 비교하여 판단할 것은 아니고, 이 사건에서 인사규정의 개정으로 전체적으로 정년이 연장되었으므로 불이익하게 변경되었다고 단정할 수 없다고 보아 이와 달리 판단한 원심판결을 파기한 사안임.
카테고리 인기기사 1서울고법 판례위원회 선정 중요 판결·결정(3) 22021라20641 부정경쟁행위금지 가처분 3학교용지부담금 부과처분취소 4개인정보보호법위반 52020누55253 부가가치세부과처분취소
기자가 쓴 다른기사 남태훈(서울) 변호사 결혼 김선미(법무법인 서앤율) 변호사 결혼 청년 노동인권 보호와 근로감독 ESG 관련 행정부 동향소개 온라인 배송기사의 노동조합법상 근로자성 인정
한 주간 인기기사 1[변시 페이스 메이커] 교과서를 읽는 것이 요약서 읽는 것보다 효율적 2대형로펌, 금융·특수통 검사 출신 영입 경쟁 3(단독) 주식 리딩방 사기 피해자들 발동동 4선후배가 보는 오석준 대법관 후보자… 5사법 사상 유일하게 대법원 공보관 두 번 역임…소통 능력 뛰어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