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률신문

월요법창

메뉴
검색
교통사고
월요법창

[월요법창] 안티고네, 헌법재판

2022_mon_do_face.jpg2022_mon_do.jpg

 

테베의 왕 라이오스를 살해하고 스핑크스의 수수께끼를 해결하여 이오카스테 왕비와 결혼하였으나, 이후 자신이 생부를 살해하고 생모와 결혼하였음을 알게 되자, 눈을 멀게 하고 방랑길에 나서 최후를 맞이하였다는 ‘오이디푸스’의 이야기는 유명하다. 그러나 그의 딸 ‘안티고네’에 대한 이야기는 의외로 널리 알려져 있지 않다.

  

오이디푸스와 이오카스테 사이에는 두 아들(폴리네이케스, 에테오클레스)과 두 딸(안티고네, 이스메네)이 있었다. 오이디푸스가 테베를 떠나자 그의 두 아들은 왕위 다툼을 벌였고, 승리한 에테오클레스는 폴리네이케스를 추방한다. 폴리네이케스는 아르고스의 군대를 이끌고 돌아와 테베를 공격하였고, 결국 두 형제가 서로를 죽인 뒤 전쟁은 종결된다. 이후 테베의 새로운 왕이 된 크레온(이오카스테의 오빠, 안티고네의 삼촌)은 테베를 지킨 에테오클레스에게 성대한 장례를 치러주었으나, 외국 군대를 이끌고 조국을 공격한 폴리네이케스에 대한 매장을 불허하고 이를 어기는 자는 죽음에 처하도록 명한다. 하지만 오빠의 시체가 들판에 버려진 채 금수의 먹이가 되는 것을 방관할 수 없었던 안티고네는 폴리네이케스의 시체를 거두어 장례를 치르다 발각된다. 격노한 크레온은 안티고네에게 사형을 선고하고 동굴에 구금한다. 하이몬(크레온의 아들, 안티고네의 약혼자)은 안티고네를 구명하려 하지만 크레온은 흔들리지 않는다. 크레온의 마음은 예언자 테이레시아스의 진언을 듣고 나서야 움직였으나, 이미 안티고네는 동굴에서 죽고, 하이몬은 약혼녀의 시신 옆에서 자결하였으며, 에우리디케(크레온의 처)마저 아들의 소식을 듣고 절명한 상황이었다. 이에 크레온은 자신의 오만함에 후회하며 극은 마무리된다.

 

작중 재판과정에는 다음과 같은 크레온과 안티고네의 문답이 있다.

 
“긴말을 원치 않는다. 금지된 일인지 몰랐느냐?” “물론 알고 있었습니다. 칙령 선포가 있었지요.” “그런데도 감히 법을 어겼느냐?” “이번 칙령은 제우스신이 내린 것이 아닙니다. 정의의 여신인 디케도 인간에게 이런 법을 내리지는 않습니다. 저는 한 인간인 당신이 내린 칙령이 변함없이 전해져온 하늘의 법보다 우선한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이 부분을 읽으면, 결국 비극의 원천은 형식적 합법성을 지닌 ‘칙령’과 실질적 정당성을 지닌 ‘하늘의 법’의 대립에 있었음을 알 수 있다. BC 5세기에 이미 '실정법'(law as it is)과 '자연법'(law as it ought to be)의 파멸적 대립을 통찰하여 비극의 소재로 삼았던 소포클레스의 천재성에 놀라움을 금할 수 없다.


오늘날에는 과거 자연법에 해당하는 많은 요소들이 근본규범인 헌법에 녹아들어 있고, 헌법재판이란 규범통제제도가 실정헌법에 도입됨에 따라 법령에 대해 형식적 합법성뿐만 아니라 실질적 정당성까지 요구할 수 있게 되었다. 단순한 '법의 지배'(rule of law)가 아니라 '좋은 법의 지배'(rule of good law)를 고민해 볼 수 있는 시대에 살게 되어 다행이다.

 

 

승이도 헌법연구관(헌법재판소)

 

관련 법조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