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보험회사의 직원이었던 허버트 W. 하인리히(Herbert W. Heinrich)는 약 7만5000건의 산업재해를 분석하면서 그 조사 결과를 토대로 1931년 산업재해예방이라는 책을 발간하였다. 그 책에서는 산업 안전에 대하여 1:29:300의 법칙을 제시하였다. 이 법칙은 1번의 큰 재해가 있기 전에 29번의 작은 재난이 발생하였고 또 운좋게 재난사고로는 이어지지 않았지만 동일한 원인으로 사고가 발생할 뻔한 징후(near misses)가 300번이 있었으리라는 것이다. 하인리히의 법칙은 그 숫자의 비율에 천착하기 보다는 사소한 오류의 징후가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고, 또한 작은 사고 하나가 연쇄적인 사고로 이어진다는 점을 지적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IoT, 빅데이터 기술과 같은 IT 기술의 발전은 과거에는 실제로 발생하였음에도 찾아낼 수 없었던 작은 징후들을 찾아낼 수 있는 기회들을 제공하여 주고 있다. 예컨대 휴대폰 기지국 신호들을 분석하면 특정 지역 내에서 밀집한 인구수를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수치들을 통하여 인구 밀집도를 기지국 단위로 디테일하게 분석할 수 있고 이를 시계열적으로 축적하여 인공지능 기술을 결합한 예측 모델을 도입하면 장래의 특정 시점에 주요 장소에서의 인구별 혼잡도를 추정해낼 수 있다. 물론, 과거에 그러한 가능성이 있었는지, 올해의 상황이 작년 또는 몇 년 전의 상황과 어떻게 다른지는 기술적으로 예측해 낼 수 있는 부분이 아니라는 지적 역시 의미 있지만 재난 방지를 위한 이러한 노력들을 해보지 않고 부정적으로 얘기할 것은 아니다.우리는 코로나19 상황을 거치면서 이미 데이터 기반 행정과 정책 수립의 중요성을 목도한 바 있다. 데이터 기반 행정은 정치적 판단에 앞서 신중하게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 분석을 주도한 전문가의 의견을 존중하는 것이다. 이는 통계 수치를 정책 판단에 반영하는 단순한 문제가 아님을 다 잘 알고 있다. 실제 구현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데이터 기반 행정의 실질적인 운영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는 의문이다. 그렇다고 법만 만들어 놓고 구체적인 사항들의 집행이 미뤄지고 있다고 행정부만을 탓할 것은 아니다. 법이 없어서 안 되는 것도 있겠지만 입법이 있다고 하여 모든 것이 해결되는 것도 아닌 것이다. 민간이 운영한 SNS가 불통되었다고 단 며칠 만에 민간 기업에 대한 직접적인 규제를 추가하는 법 개정안을 발의하는 것 역시 대증적인 제안에 불과한 것이 아닌지 곱씹어 볼 필요가 있다. 300번의 징후 중 그중 일부만이라도 찾아내고 이를 통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대비할 수 있었다면 이번 이태원 참사에 대한 사전 예방이 가능하였을지도 모른다. 그 이전에 재난안전을 위한 각종 예방책들이 사고가 발생하지 않으면 매몰되는 비용이라는 이유로 소홀히 다루어진 것은 아닌가 하는 점도 반성할 필요가 있다. 불의의 사고를 당한 이들의 명복을 빕니다.강태욱 변호사 (법무법인 태평양)
카테고리 인기기사 1[Law & Smart] 초거대 AI 모델 챗봇의 활성화 2[Law & Smart] OTT 도둑 시청과 두더지 잡기 3[Law & Smart] AI 창작물의 저작권 인정 문제 4[Law & Smart] 금융거래 보안소프트웨어 취약점 5[Law & Smart] 개인정보 보호법 전면 개정
한 주간 인기기사 1[LG家 상속재산 분쟁] “유언장 속였으므로 상속합의는 무효” VS “상속재산분할협의서에 모두 서명날인” 2노소영 관장, 이혼사건 항소심 소송대리인으로 서정, 김수정 변호사 등 선임 3로펌, 압수수색 피해 해외 클라우드로 ‘망명’ 4[2022년 분야별 중요판례분석] (4) 행정법 - 고범석 법무법인 광장 변호사 5상속, 재산분할 등 사건에서 법조 ‘큰 시장’열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