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정이유 및 주요내용 현행법상 임대인은 임대차기간이 끝나기 6개월 전부터 1개월 전까지, 임차인은 임대차기간이 끝나기 1개월 전까지 상대방에게 갱신거절 통지를 하지 아니하거나 계약조건을 변경하지 아니하면 갱신하지 아니한다는 뜻의 통지를 하지 아니한 경우 전 임대차와 동일한 조건으로 다시 임대차한 것으로 보는 묵시적 계약갱신 제도를 규정하고 있으나, 통상 1개월은 임차인이 다른 주거 주택을 마련하거나 임대인이 새로운 임차인을 구하기에 충분한 시간이 아니므로 임대차기간이 끝나기 2개월 전까지 통지하지 아니한 경우 전 임대차와 동일한 조건으로 다시 임대차한 것으로 보도록 함으로써 주거생활의 안정성을 높이려는 것임.
카테고리 인기기사 1대통령직인수위원회서 활동하는 법조인들 2소액사건에 판결이유 쓰는 판사들 ‘호평’ 3법조 고위공직자들 '바이오 투자' 선호 4(단독) 국회 법사위 출신 보좌진 '로톡行'… "전관예우 우려" 5[인터뷰] 이강섭 법제처장 "행정기본법 시행 1년, 행정법 집행 통일성 높아져"
한 주간 인기기사 1‘법의 눈물’이 사라진다 2(단독) 로펌 보수금, 비트코인으로 받는다 3온라인 기업 ‘판례 검색 사이트’ 본격 경쟁 돌입 4로스쿨 1~7기 졸업생 88%, 변호사시험 합격 5[판결] "징역 1년" 주문 낭독에 피고인 난동 부리자 "징역 3년" 선고는 위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