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축구단인 전북현대모터스FC(전북현대)에서 경호 관련 업무를 담당한 양모씨는 2013년 11월 해고됐다. 경호업체를 변경해주는 대가로 업체로부터 골프채와 그린피, 식사 등의 접대와 뇌물을 받았다는 이유였다. 양씨는 노동위원회에 부당해고 구제신청을 냈다. 그는 "회사가 근로조건을 모기업인 현대자동차와 동일하게 해주기로 했기 때문에 징계절차도 현대차와 같은 절차로 이뤄져야 하는데 소명기회도 없이 해고당해 무효"라고 주장했다. 전북현대는 원래 현대차 소속이었지만 2009년 별도 법인으로 분사했다. 양씨도 이때 현대차에 사직서를 제출하고 전적에 동의했다. 노동위는 양씨의 주장이 일리가 있다며 구제신청을 받아들였다. 전북현대는 이에 반발해 소송을 냈다. 서울고법 행정7부(재판장 윤성원 부장판사)는 전북현대가 중앙노동위원회위원장을 상대로 낸 부당해고구제심판정취소소송(2015누43300)에서 1심과 같이 "해고는 적법하다"며 전북현대의 손을 들어줬다. 재판부는 "축구단 단장이 직원들에게 '최소한 현대자동차 수준으로 맞춰주는 쪽으로 노력하겠다'고 이야기 했을 뿐이었고, 새로운 법인 설립 당시 직원들 사이에 주로 논의된 것은 임금 부분이었다"고 밝혔다. 이어 "전북현대의 징계절차 규정에 소명기회를 따로 부여하도록 하는 조항이 마련돼 있지 않은 이상 현대자동차 징계절차와 달리 소명기회 없이 해고했더라도 위법하다고 볼 수 없다"고 설명했다.
카테고리 인기기사 1최근 5년 경력법관, 김앤장·서울대 출신 가장 많아 2[판결] 대법원 전합 "혼인중 출생 자녀, 혈연관계 없어도 친생추정" 3[판결] "임금 피크제 도입해도 근로자에 유리한 개별 근로계약이 우선" 4법학과 출신 72% ‘편중’… ‘SKY’ 쏠림 여전 5[판결](단독) ‘공무원 퇴직수당’은 이혼 시 재산분할 대상
한 주간 인기기사 1스마트폰 잠금 해제 위한 ‘지문 검증’ 영장 논란 2[판결](단독) 사직서 냈으면 특별한 사정없는 한 철회 못해 3조희대 대법관 후임 물망에 '21명' 4[법조라운지 커버스토리] 법조계 ‘체인지 메이커’ 임성택 지평 대표변호사 5‘레깅스 판결문’ 열람제한 조치 요구 파문 확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