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신축으로 인근 주민의 일조권을 침해했더라도, 도급 계약에 따라 아파트 시공을 한 회사는 책임이 없다는 판결이 나왔다. 청주지법 민사12부(재판장 박정희 부장판사)는 10일 청주시 비하동의 A아파트 주민 황모 씨 등 17명이 "일조권 침해로 인한 손해를 배상하라"라며 B아파트 분양사 T사와 시공사 K사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청구소송(2010가합1354·2010가합4742 병합)에서 "T사는 가구당 1800만~1900만원을 지급하라"라며 원고 일부승소 판결을 내렸다. 재판부는 판결문에서 "건물의 건축으로 인한 이익을 궁극적으로 향유하는 주체는 소유자 내지는 도급인이지 시공사가 아니고, 시공자인 건설회사는 건물 건축공사의 수급인으로 도급인과 체결한 계약내용에 따라 공사를 이행하는 수족(手足)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시공자가 건축법 등 관계 법령을 준수해 건물을 완공했으면 주의의무를 다한 것이고, 인근 건물 소유자의 일조권 등을 침해하는 지 여부까지 고려해 건물을 지어야 할 주의의무가 없다"고 설명했다. 재판부는 T사에 대해선 "B아파트 신축으로 인한 A아파트의 일조권 침해가 일반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정도를 넘어선다고 봐야 하므로 손해배상책임이 있다"고 덧붙였다. 2005년 T분양사는 K시공사와 도급계약을 체결하고 2009년 B아파트를 완공했다. 황씨 등은 B아파트로 인해 실내에 햇볕이 제대로 들지 않는다며 소송을 제기했다.
카테고리 인기기사 1[판결](단독) 검사가 피고인에 유리한 증거 제출 거부는 위법… “국가에 손배책임” 판결 잇따라 2[판결] '표창장 위조 등 혐의' 정경심 교수, 1심서 징역 4년 법정구속 3[판결] 사무장이 의뢰인 속여 수천만원 받아갔다면, 변호사에게 사용자책임 4[판결](단독) 경찰·마약정보브로커, 어쩔 수 없는 관계인가… 5[목요초대석] 8년 연속 ‘우수법관' 선정 김문관 부장판사
한 주간 인기기사 1[판결](단독) “재직자에게만 지급 상여금도 통상임금 해당” 2불경기 속 당사자들 소송비용 회수 ‘안간힘’ 3중대재해 방지, ‘필요한 안전 조치’ 어디까지인가 4[판결](단독) 재결합 이후도 10여 차례나 이혼절차 밟았다면, 유책배우자라도… 5법복 걸치고 근육 과시… ‘몸짱 판사’ 어떻게 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