텃밭에서 일하던 80대 노인이 물을 길러 간 농수로에 빠져 숨졌다면 농수로를 관리하는 농어촌공사에도 40%의 책임이 있다는 판결이 나왔다. 사고 발생 한달 전에도 이 농수로에 사람이 빠져 익사한 사건이 발생했는데도 공사가 펜스를 설치하는 등 안전조치를 제대로 취하지 않았다는 이유에서다. 서울중앙지법 민사209 단독 오상용 부장판사는 농수로에 빠져 익사한 A씨(당시 87세·여)의 유족들이 농어촌공사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청구소송(2015가단5377809)에서 "공사는 A씨 남편에게 1600여만원, 자녀 5명에게 각 600만원 등 총 4600여만원을 지급하라"며 최근 원고일부승소 판결했다. 재판부는 A씨의 손자녀 10명이 한 손해배상청구는 기각했다. 재판부는 "수심이 90㎝에 이르고 유속이 빠른 농수로는 근처에서 물을 뜨는 인근 주민들이나 대로변 인도에서 술에 취한 사람들이 추락할 경우 익사 등 사망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며 "농수로의 관리자인 공사는 위험표지판을 세우고 차단벽이나 철조망을 설치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의무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사고 당시까지 공사가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고 그대로 방치한 과실이 있다"며 "다만 A씨도 주의를 게을리한 잘못이 있어 공사의 책임을 40%로 제한한다"고 설명했다. A씨는 지난해 5월 경기도 파주시 집 근처 농수로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경찰은 A씨가 농수로에 물을 뜨려고 내려갔다가 물살에 휩쓸려 익사한 것으로 결론 냈다. 이 농수로에서는 A씨가 사고를 당하기 한 달 전에도 40대 남성이 빠져 숨지는 사고가 있었지만, 공사는 두 건의 사고 이후에야 방호 조치를 위한 펜스를 설치했다.
카테고리 인기기사 1[판결](단독) 검사가 피고인에 유리한 증거 제출 거부는 위법… “국가에 손배책임” 판결 잇따라 2[판결](단독) 아파트 선관위원장 ‘변호사 선임료’, 입주자대표회의가 지원해야 3[판결] "일실수입 산정, 근로자 월 가동일수 '22일→18일로'" 4[판결](단독) ‘상습절도죄’ 전과는 특정범죄가중법 제5조의4 5항 ‘징역형’ 포함 안돼 5서울중앙지법 인사 놓고 '코드 인사' 문제 제기도
한 주간 인기기사 1[판결] 양육비 사용내역 ‘정기적 공개’ 명령할 수 없다 2헌정 사상 첫 '행정기본법' 3월중 시행 3[판결] "개선 의지 없는 저성과자 해고 위법 아니다" 4한국 투자자가 꼭 알아야 할 2021년 베트남 법 5[판결] 구호조치 필요하지 않을 정도로 피해가 경미한 교통사고라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