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통합을 기치로 내건 국회 주도형 개헌 작업에 시동이 걸렸다. 과거와 달리 선거법 개정과 연동하고 여야 합의를 거친 안을 상정하는 방식으로, 본회의 의결을 사실상 사전에 확정하겠다는 로드맵을 구체화 하고 있다.
27일 법률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국회의장 직속 한시기구인 '헌법개정 및 정치제도 개선 자문위원회'는 오는 31일 제2차 전체회의를 비공개로 연다. 이날 전후로는 위원들이 4개 분과위로 나눠 주제별 회의를 연다. 각계 전문가 24명으로 구성된 자문위는 김진표 국회의장의 주도로 추진되는 개헌 작업의 신호탄으로 여겨지고 있다.
김 국회의장이 제시하는 로드맵에 따르면, 자문위가 헌법 개정안을 연구해 쟁점을 좁히고 김 의장이 적절한 시기에 여야 합의를 거쳐 '국회헌법개정특별위원회'를 출범시킨다. 특위 산하에는 '공론화위원회'가 구성돼 특위가 요청하는 쟁점 사항에 대한 여론조사·공론조사를 실시해 국민참여를 높인다. 한편 여야 국회의원들로 구성된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는 4월 10일을 목표로 중대선거구제 도입 여부를 포함한 공직선거법 개정 방향을 논의하면서 접점을 찾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