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조 경력자를 대상으로 하는 법관 임용에 현직 검사 20여 명이 지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원자 대다수가 판사로 전직(轉職)할 가능성이 커 검사 출신 합격자 수는 역대 최고치가 될 것으로 관측된다. 대법원 법원행정처는 현재 2022년도 일반 법조 경력자 법관 임용 과정 중 최종면접을 진행 중이다. 최종면접을 통과한 지원자들은 대법관회의 임명 동의를 거쳐 법관으로 최종 임용된다. 법원은 2018년부터 법조 경력 5년 이상의 '일반 법조 경력자'와 법조 경력 20년 이상의 '전담법관' 임용절차로 나눠 법관을 임용하고 있다. 지난해 최종 면접 합격자는 157명이다. 이들을 출신별로 분류하면 △변호사가 88명(35%)으로 가장 많고 △국선전담변호사 26명(16.6%) △각급 법원 로클럭 22명(14%) △검사 11명(7%) △대법원 재판연구관 5명(3.1%) △국가기관 및 공공기관 소속 5명(3.1%) 순이다. 역대 법관 임용에서 검사 출신 합격자의 비율은 7~11%가량이었다.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의 합격자 규모에서 검사 출신 상당수가 합격하면 검사 출신 비율은 역대 최대치인 약 12% 수준까지 늘어나게 된다. 한 변호사는 "법관 임용에 필요한 최소 법조 경력 기간을 5년 이상에서 7년 이상으로 늘리는 개정 법원조직법 시행이 2025년으로 3년 유예됐다. 법관 임용을 희망하는 저년차 변호사나 검사들에게는 호재이자 막차"라고 말했다. 한 부장검사는 "정권 변화에 따른 인사 폭이 검찰 보다는 법원이 상대적으로 적어 능력과 평정에 따른 인사가 가능할 것으로 보이는 법원으로 우수한 검사들이 가는 경향이 최근 생겼다"고 말했다.
카테고리 인기기사 1‘성폭행 허위 신고’ 안 통한다 2이원석 검찰총장, 권오곤 전 ICTY 재판관·백기봉 ICC 재판관 후보자 회동 3[파견검사의 세계] 37개 기관에 파견검사 53명… 외국에도 13명 4"메타버스 사이버 폭력 처벌·규제해야" 5[파견검사의 세계][인터뷰] 전영우 금융감독원 파견검사 “금감원, 검찰, 금융위의 가교 역할”
기자가 쓴 다른기사 7조 원대 불법 외환 거래 도운 NH선물 직원 5명 기소 전두환 미납 추징금 환수율 60% 넘길까 남은 교토 2호 매각해 유족 보상금 일부로 사용토록 협상 (금주 법조계 주요일정) 3월 20~24일 대구지검, '브로커 혐의 눈감고 후속 범행 도운' 현직 경찰 구속기소
한 주간 인기기사 1[LG家 상속재산 분쟁] “유언장 속였으므로 상속합의는 무효” VS “상속재산분할협의서에 모두 서명날인” 2노소영 관장, 이혼사건 항소심 소송대리인으로 서정, 김수정 변호사 등 선임 3로펌, 압수수색 피해 해외 클라우드로 ‘망명’ 4[2022년 분야별 중요판례분석] (4) 행정법 - 고범석 법무법인 광장 변호사 5상속, 재산분할 등 사건에서 법조 ‘큰 시장’열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