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적인 '정의의 여신상'은 눈을 가리고 서서 양손에 칼과 저울을 들고 있다. 눈을 가리는 것은 '선입견에 흔들리지 않겠다'는 의미를, 칼은 '법의 엄정함'을, 저울은 '형평'을 뜻한다. 서울 서초동 대법원청사 대법정 출입문 위에 있는 한국의 정의의 여신상은 눈을 가리지 않고, 칼 대신 법전을 들고 앉아 있다. 표정도 부드럽다. 법률신문은 1950년 창간한 지 72년 만인 2022년 6월 20일 판형을 변경하며 혁신의 출발점에 섰다. 따뜻한 마음으로 세상을 보면서 공정과 정의에 헌신하겠다는 다짐을 하며 정의의 여신상을 1면에 싣는다. 사진은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사진작가 김중만이 13일 촬영했다. 정의의 여신상은 조각가 박충흠이 1995년 '한국적인' 정의의 여신상 구현을 콘셉트로 제작했다.
카테고리 인기기사 1[로타임스 포토] 여명 2[포토] 서울 여의도 한국노총 간담회에서의 윤석열 대통령 3[로타임스 포토] 수평선에 걸친 검붉은 태양 4[로타임스 포토] 볕뉘 5[포토] '눈을 가리지 않은, 따뜻한 한국의 정의'
기자가 쓴 다른기사 '우수 헌법수업' 대상에 김승현 서대전고 교사 [판결] 신천지 이만희 총회장 '방역 방해 혐의' 무죄 확정… 횡령 혐의 등은 유죄 대법원, '디스커버리 제도' 전국 법관 대상 설문조사 [판결] MB, '비자금 의혹 제기' MBC 스트레이트 상대 소송 패소 골프장 이용객 사고도 ‘중대시민재해’ 해당 되나
한 주간 인기기사 1[로펌 입사하기] 김앤장 법률사무소… ‘친화력 있고 리걸마인드 갖춘 인물 찾아’ 2(단독) 동국제강 장세주 사면…부영 이중근·금호석유화학 박찬구 제외 3재판연구원 채용, 경력 변호사까지 확대 4(단독) 검사 20여 명 경력 법관 임용 지원 5[권석천의 시놉티콘] (4) 우영우의 이상한 물음 “법이면 다 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