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사도급계약이 총액계약인지, 단가계약인지 판단기준 ◇ 당사자 사이에 계약의 해석을 둘러싸고 이견이 있어 당사자의 의사 해석이 문제 되는 경우에는 계약의 형식과 내용, 계약이 체결된 동기와 경위, 계약으로 달성하려는 목적, 당사자의 진정한 의사, 거래 관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논리와 경험의 법칙, 그리고 사회일반의 상식과 거래의 통념에 따라 합리적으로 해석해야 한다(대법원 2017. 2. 15. 선고 2014다19776, 19783 판결, 대법원 2017. 9. 26. 선고 2015다245145 판결 참조). 공사도급계약은 대금의 지급방식에 따라 크게 총액계약과 단가계약으로 나눌 수 있다. 총액계약은 계약 목적물 전체에 대한 공사대금 총액을 정하여 체결하는 계약을, 단가계약은 개별공정 또는 항목에 대한 단가와 요율을 근거로 체결하는 계약을 뜻한다. 공사도급계약이 총액계약인지, 단가계약인지는 계약의 해석 문제로서 공사도급계약서에서 정한 내용을 기준으로 판단해야 한다. 만일 공사도급계약서의 기재 내용만으로 이를 알기 어렵다면 계약 해석의 일반원칙에 따라 계약의 동기나 목적, 계약이행 과정에서 당사자의 태도, 거래관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판단해야 한다. ☞ 피고(도급인)가 기성공사대금 지급을 거부하여 원고(수급인)가 공사를 중단하고 공사대금의 지급을 구하는 사안에서 원심은 이 사건 공사도급계약이 총액을 정하지 않은 단가계약이라는 전제에서 단가에 따라 공사대금을 산정하였음. ☞ 위 법리에 따라 대법원은 이 사건 공사계약에서 전체 공사대금을 40억 원으로 정하였던 사정, 원고의 기성공사대금 청구 당시 원고와 피고의 태도 등을 종합하여 볼 때 이 사건 공사도급계약은 총액계약임을 전제하였다고 볼 여지가 있다고 판단하고 이와 달리 판단한 원심을 파기한 사안임.
카테고리 인기기사 1서울고법 판례위원회 선정 중요 판결·결정(3) 22021라20641 부정경쟁행위금지 가처분 32020누55253 부가가치세부과처분취소 42020나2029444 부당이득금 52021나2039981 부당이득금반환 청구 등의 소
기자가 쓴 다른기사 김준홍(경기중앙) 변호사 결혼 [말말말] "국회는 빨리 고발인 이의신청권을 복원하라." [말말말] "공정과 정의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갖고 검찰의 정치적 중립성과 공정성을 수호하며 정의와 상식에 맞게 법을 집행할 후보자들을 선정했다." [로타임스 포토] 해바라기 글로벌 ESG 공시 동향 - 美 SEC 기후공시안의 주요내용
한 주간 인기기사 1[시인이 만나는 법] 탈북민 출신 1호 변호사 이영현 2(단독) 경찰공채에 변호사 지원 격감 3[박성민의 법문정답] (8) “‘서울대 법대 정치인’은 왜 실패하는가” 4[송종의 회고록] 밤나무 검사의 자화상 (11-1) 5[특별기고] 법조인 정치시대의 명암 - 법률가 정치는 왜 실패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