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공무원 부패범죄, 이명박·박근혜 정부 때 크게 증가 취재 이정현 디자인 김정은 #공무원범죄 #이명박 #박근혜 #카드뉴스-정책 #법률신문 2 公 廉 (공변될 공, 청렴할 렴)공정하고 공평하며 청렴한 것은 공직자의 기본 덕목 다산 정약용 선생이 국가발전의 기본으로 삼았던 철학 3 하지만 지금 우리 사회는“공무원 부패범죄, 이명박·박근혜 정부 때 크게 증가했다” - ‘한국의 범죄현상과 형사정책’ , 형사정책연구원(2017) 4 정부별 공무원범죄 건수 (연평균) 노무현 정부 1627건 이명박 정부 2100건 박근혜 정부 2816건 5 통상 정부출범초기 새정부의 부패척결 의지에 따라 공무원 범죄가 감소함에도 불구하고이명박 박근혜 정부의 경우 이전 정부에 비해 오히려 증가하는 양상 6 특히 4대 공무원 범죄 중 직무유기가 가장 많아 공무원의 업무해태, 복지부동도 심각 7 13년간 4대 공무원 범죄 발생건수(지난 13년간 연간발생건수 평균)직무유기 673.8건 수뢰 574.5건 직권남용 578.2건 증뢰 287.1건 8 그래도 희망적인 것은 “헌정 사상 최초의 대통령 탄핵 사태를 맞이하면서 공무원범죄에 대한 새로운 국면이 열리게 됐다" -형사정책연구원 관계자 9 公廉 공렴 빛바랜 문자로만 남지 않는 공직사회가 되기를 바랍니다.
한 주간 인기기사 12022년 하반기 검사 인사 2[사법부의 오늘] ③ 소통 끊어진 법관사회 3변호사·법무사, 본인확인 의무 강화 된다 4[판결](단독) 2조원대 코인 투자 사기… 발행업자, 피해자에 투자금 배상해야 5[판결] 상가 임차인이 임대인에 새 임차인 주선 시도 않았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