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 : 강한 디자인 : 김정은 1 "교사의 권위로 학교폭력 문제를 해결하던 시대는 막을 내렸습니다." 2 교사 출신 학교폭력 전문 법률가 전수민(39) 변호사 △풍생고등학교 △서울대 생물교육학과 △인헌고등학교 교사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변호사시험 1회 △서울시 교육청 학교폭력 전담 변호사 △변호사 전수민 법률사무소 자료출처 : 한국법조인대관 3 학생을 가르치던 교사에서 교육법률지원 전문가로 변신한 전수민 변호사 4 학교징계처분 재심청구 연간 100여건 학교폭력소송만 연간 20여건 수행 5 소송을 진행하며 교사의 눈으로 볼 수 없었던 학교현장을 둘러싼 새로운 세계 '한계에 부딛친 선생님의 권위' '권위보다 전문성을 필요로 하는 현장의 요구' 6 "학교는 그 자체로 작은 사회입니다. 현재 학교가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은 주먹구구식이어서 절차적·내용적으로 미흡하고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교육'과 '법' 사이에서 현장의 특성을 적절히 반영한 법률 자문이 필요합니다" 7 그가 생각하는 학교폭력대책 학교폭력 사례집과 징계기준 마련 "중립성과 객관성을 의심받을 수 밖에 없는 현재의 처리과정. 이런 불만은 학교를 상대로 한 소송전과 같은 2차, 3차 분쟁을 양산할 수 밖에 없다" 8 자문.고문변호사 시스템 마련 "학교의 예산확보, 법률서비스를 위한 자문변호사를 두고 활용할 수 있다면 상황이 크게 나아질 것" 9 "학교폭력 뿐만 아니라 교육현장의 여러 갈등을 조율하고 법적 문제를 풀어낼 전문가의 손길이 필요합니다" 교육과 법률의 접합점에서 새로운 역할을 찾아가는 그의 도전을 응원합니다.
한 주간 인기기사 12022년 하반기 검사 인사 2[사법부의 오늘] ③ 소통 끊어진 법관사회 3변호사·법무사, 본인확인 의무 강화 된다 4[판결](단독) 2조원대 코인 투자 사기… 발행업자, 피해자에 투자금 배상해야 5[판결] 상가 임차인이 임대인에 새 임차인 주선 시도 않았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