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나 대중교통 등 회사에서 제공하지 않은 교통수단을 이용해 출퇴근하다 다친 경우 업무상 재해를 인정하지 않는 현행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은 헌법에 어긋난다는 헌법재판소 결정이 나왔다. 헌재는 30일 자전거를 타고 퇴근하다 넘어져 다친 아파트 관리사무소 직원 A씨가 "자전거가 회사에서 제공한 교통수단이 아니라는 이유로 업무상 재해를 인정하지 않는 것은 위헌"이라며 낸 헌법소원사건(2014헌바254)에서 재판관 6대 3의 의견으로 헌법불합치 결정했다.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37조 1항 1호 다목은 사업주가 제공한 교통수단이나 그에 준하는 교통수단을 이용해 출퇴근하다 사고를 당한 경우에 업무상 재해를 인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헌재는 "도보나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교통수단 또는 대중교통 등을 이용해 출퇴근하는 산재보험 가입 근로자는 사업주가 제공하는 교통수단을 이용해 출퇴근하는 산재보험 가입 근로자와 같은 근로자인데도 출퇴근 중에 발생한 재해를 업무상 재해로 인정받지 못하는 차별 취급이 존재한다"고 밝혔다. 이어 "사업장의 규모나 재정여건의 부족 또는 사업주의 일방적 의사나 개인 사정 등으로 출퇴근용 차량을 제공받지 못한 근로자는 비록 산재보험에 가입돼 있더라도 출퇴근 재해에 대해 보상받을 수 없다는 차별은 합리적 근거가 없다"고 설명했다. 헌재는 다만 단순 위헌 결정을 내릴 경우 출퇴근 재해를 업무상 재해로 인정하는 최소한의 법적 근거가 상실되는 상태를 우려해 내년 12월 31일까지 해당 조항을 유지하도록 했다. 하지만 김창종·서기석·조용호 재판관은 "사업주의 지배관리가 미치지 않는 통상의 출퇴근 중 발생한 재해를 업무상 재해의 범위에서 제외한 것은 산재보험의 목적과 성격, 업무상 재해의 법리에 비춰 볼 때 당연하다"며 "산재보험 혜택을 받지 못하는 불이익이 발생하더라도 불이익은 개별 사업장의 근로조건 및 복지수준 등의 차이에서 오는 불가피한 결과이고 재보험의 재정상황, 사업주와 근로자의 사회적 합의, 전체적인 사회보장의 수준 등을 고려해 입법으로 해결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며 반대의견을 냈다. A씨는 2011년 11월 자전거로 퇴근하다 넘어져 왼손이 버스 뒷바퀴에 깔려 손가락이 부러졌다. 근로복지공단에 요양급여를 신청했지만, 업무상 재해가 아니라며 거부하자 소송을 냈다. A씨는 재판 중 법원에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대한 위헌법률심판 제청을 신청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자 헌법소원을 냈다.
카테고리 인기기사 1미성년자의제강간 ‘13세 이상 16세 미만’으로 확대한 형법 조항 헌재로 2'헌법재판소 모범 국선대리인'에 박홍우·최승재·전혜경 변호사 3법률신문 선정 2022 뉴스 PICK - 헌법재판소 4"성년후견 개시된 공무원 당연퇴직… 국가공무원법 위헌" 5"'못된 장난' 등으로 업무방해하면 처벌… 경범죄 처벌법 합헌"
기자가 쓴 다른기사 Epic Games Inc. v. Apple Inc. 메타버스와 플랫폼 공룡의 대결 2021년 국제사법 전면 개정을 환영하며 한국가족법학회 회장에 우병창 숙명여대 법학부 교수 한지영 조선대 법학과 교수, 제2회 저작권 우수논문 '대상' 수상 하명호 고려대 로스쿨 교수, '행정법' 출간
한 주간 인기기사 1부장검사들도 사직…상반기 검찰 인사 임박 2(단독) 7개 대형로펌 지난해 매출 성장세… 율촌, 3000억대 돌파 3변호사 시험 치른 인공지능(GPT-3.5)… ‘AI 변호사’ 시대 성큼 4[판결] 차량 블랙박스에 우연히 녹음된 타인 간 대화내용 청취는 52023년 상반기 검사 인사 (전입청 기준)